티스토리 뷰
목차
알바를 시작하거나 새 직장을 구하려는데, 최저임금이 뭔지, 내 통장에 실제로 얼마나 들어오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최저임금을 아는 건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에요!
내 권리를 지키고, 월급이 제대로 계산됐는지 확인하며, 똑똑한 재정 계획을 세우는 첫걸음이죠. 예를 들어, 편의점 알바를 시작할 때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인지, 세금을 뗀 월급이 얼마인지 알면 사장님이 잘못 계산한 걸 바로잡을 수 있어요!
게다가, 내가 받을 돈을 미리 알면 저축이나 생활비 계획도 훨씬 쉬워지죠.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설명하고, 간편한 계산기 링크로 세후 월급을 바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내 월급, 지금 확인해볼까요?
최저임금, 이게 뭔데?
최저임금은 정부가 정한 최소한의 시급이에요. 2025년에는 시간당 10,030원이죠. 즉, 어떤 일을 하든 이 금액 아래로 시급을 받으면 안 돼요! 예를 들어, 편의점 알바를 하루 8시간, 주 5일 하면 월급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까요?
- 시급: 10,030원
- 하루 8시간: 10,030원 × 8 = 80,240원
- 주 5일(월 4주 기준): 80,240원 × 5일 × 4주 = 1,604,800원
- 주휴수당 추가: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하루치 시급을 더 줘요! (80,240원 추가)
- 세전 월급: 약 2,096,270원 (주휴수당 포함, 월 209시간 기준)
하지만 이 돈에서 세금과 보험이 빠지면 실제 받는 돈은 줄어들어요. 그럼 어떻게 계산하는지, 쉽게 알아볼게요!
세후 실수령액, 이렇게 계산해요!
세후 실수령액은 월급에서 세금과 보험을 뗀,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돈이에요. 초보자를 위해 간단히 설명할게요.
1. 세금과 보험, 뭐가 빠질까?
월급에서 아래 항목이 공제돼요:
-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사장이 내줌)
- 소득세: 내가 번 돈에 대한 세금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예를 들어, 2025년 최저임금 월급(2,096,270원)에서:
- 4대 보험: 약 9% (약 190,000원) 빠짐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3% (약 60,000원) 빠짐
합계: 약 250,000원 정도 공제돼요.
2. 계산 예시: 편의점 알바생 민수
민수가 편의점에서 주 5일, 하루 8시간(주휴수당 포함) 일한다고 해볼게요:
- 세전 월급: 2,096,270원
- 4대 보험: 190,000원 공제
- 소득세 + 지방소득세: 60,000원 공제
- 실수령액: 2,096,270 - 190,000 - 60,000 = 약 1,846,270원
궁금: 식대(월 20만 원) 같은 비과세 항목이 있으면 세금을 더 줄일 수 있어요!
그러면 실수령액이 약 1,890,000원까지 올라갈 수 있죠.
정확한 금액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요. 그래서 계산기를 쓰는 게 최고예요!
계산기 쓰면 1분 만에 해결!
계산이 귀찮다고요? 온라인 최저임금 계산기를 쓰면 클릭 몇 번으로 내 월급을 알 수 있어요!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계산기를 추천할게요.
1.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왜 좋아?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계산기라 믿을 만해요. 최저임금 위반 여부도 체크 가능!
사용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에 들어가요.
- 시급(10,030원), 근로시간(예: 주 40시간), 주휴수당 여부 입력.
- 가족 수(보통 1명)와 식대(예: 20만 원) 입력.
- ‘계산’ 버튼 누르면 세후 월급이 짠! 하고 나와요.
장점: 법적으로 정확하고, 알바생이 최저임금을 제대로 받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2. 사람인 연봉 계산기
왜 좋아? 직관적이고, 세금 공제 항목을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요.
사용법:
- 사람인 계산기에 접속.
- 월급(2,096,270원)이나 연봉(25,155,240원) 입력.
- 식대, 가족 수 입력 후 ‘계산’ 클릭.
- 실수령액과 세금 내역이 한눈에!
장점: 연말정산 예상 금액까지 알려줘서 재정 계획에 도움돼요.
월급 더 받는 초간단 팁 3가지
- 식대 챙기기: 월 20만 원까지 식대는 세금이 안 빠져요. 사장님께 꼭 물어보세요!
- 주휴수당 확인: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하루치 시급(80,240원)을 더 받을 수 있어요.
- 최저임금 위반 신고: 시급이 10,030원보다 낮다면? 고용노동부로 전화(국번 없이 1350)!
자주 묻는 질문
Q: 알바 시작한 지 3개월 안 됐는데 시급이 달라질까?
A: 단순 알바(예: 편의점, 카페)는 무조건 10,030원을 받아야 해요.
하지만 1년 이상 계약한 경우 처음 3개월은 90%만 받을 수 있으니 계약서를 확인하세요!
Q: 세금, 보험, 다 빠지면 얼마 남아?
A: 평균적으로 최저임금 월급(2,096,270원)에서 약 1,846,270~1,890,000원을 받아요. 정확한 금액은 계산기로 확인!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 세후로는 약 1,850,000~1,890,000원을 받을 수 있어요. 내 월급이 궁금하다면 지금 고용노동부 계산기나 사람인 계산기를 클릭해서 확인해보세요! 1분이면 충분해요. 알바 월급이나 최저임금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물어보세요. 같이 해결해볼게요!